일상 끄적끄적2018. 4. 5. 10:49

차라리 아픈 줄 모르고 성격만 버려갔던 기성세대가 정신건강에 예민한 젊은 세대 보다 낫다는 생각도 하긴 하죠. 증상이 있기 때문에 병이라는 개념이 생겼다기보다는 병이라는 개념이 발명되고 증상은 심화되고, 환자는 늘어나는 것, 아닐까요. 그렇다고 그들이 현대정신건강의학 기준으로 아프지 않은 건 아니겠지만 적어도 그들의 심리적 현실은 끊임없이 정신병을 의심하거나 내가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근심에 시달리거나 그런것들을 통보받고 비통해하진 않겠죠.

정신과 약을 복용하고 좋은 건 플라시보 효과 뿐이라는 생각이에요. 없는 것보단 편하지만 딱 그 뿐이고(작고도 큰 효과죠) 약이 현실의 상황을 낫게 해주거나 그로 인해 빚어지는 내 고통을 완전히 없애주진 못하죠. 그렇다면 차라리 내가 멀쩡하다고 믿는 편이 조금이라도 더 행복한 게 아닐까요.

나는 어쨌든 한계까지 믿었고 결국 신체화 증상이 너무 심해져서 병원에 갔지만 이 결과에 만족합니다. 나는 할만큼 했으니까요 정말로. 그래요. 어쩌면 나는 꿋꿋이 버텼다는 이 알량한 자긍심이 문제인지도 모르죠. 왜 버티지 못하느냐 하는 꼰대가 욱하고 치밀어 오를 여지를 주는 걸지도요. 아무도 나한테 한계까지 버티라고 하지 않았는데 말이죠.

늘 말하지만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나'에 대한 집착이 고통을 만든다는 명제는 진린데 반해서 인간은 평생 '나'한테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겁니다. 나는 그렇게 일부의 나를 지움으로서 나를 유지하고, 누군가는 모두의 자신을 받아들임으로써 미쳐버리고 그 미쳐버림이 삶의 방식일 수도 있겠죠.

모르겠네요. 나는 한심하다 인정해버리면 그걸로 와해 되어버린 스스로와 화해가 되는걸까요.

Posted by prajna_